scroll top gotop scroll bottom

PART7증폭회로(Transistor AMP)

실험 3 :Darlington Amp.

이론

개의 npn TR을 그림 7-7 (a)와 같이 연결한 것을 Darlington-Pair(D-P)라 부르며 B, C, E 3개의 단자를 갖는 하나의 TR로 생각할 수 있다. 이는 매우 큰 β가 필요할 때 흔히 쓰인다(β≅β1 β2). 첨자 1,2를 붙여서 두 TR Q1, Q2에 관한 양을 구별하면.

i_c=i_c1+i_c2=β_1 i_b1+β_2 i_b2=β_1 i_b1+β_2 (1+β_1 ) i_b1=(β_1+β_2+β_1 β_2)i_b

그러므로

D-P’ β=β_1+β_2+β_1 β_2~=β_1 β_2

또,

D-P’ r_b=r_b1+(1+β_2)r_b2
((IB1이 작으므로 rb1을 무시할 수 없다))

이상으로 D-P의 근사적 소신호모델은 그림 7-7 (b)와 같이 된다.
그림 7-7 (c), (d)는 각각 D-P를 이용한 CE, CC증폭기이며 그 해석은 위의 두 식을 관련된 제식에 대입하면 된다. Q1의 베이스전류는 매우 작으므로(≅IC1 β2) R1, R2를 크게 할 수 있고 따라서 그림 7-7 (c)에서는 R1//R2의 shunt효과를 무시할 수 있다. 그림 7-7 (d)에서 전원에서 본 입력 임피던스 Ri는 매우 크게 된다. Ri를 더욱 크게 하려면 여기에다 bootstrap 바이어스를 이용하면 된다.

그림 7-7 (a)의 D-P에서는 Q2의 베이스가 떠있기 때문에 ON시 Q2의 베이스영역에 축적된 전하가 OFF될 때 빨리 밖으로(베이스단자를 통하여) 빠져 나갈 수 없어 고속 동작을 하지 못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그림 7-8과 같이 저항 R을 연결한다. 이 R은 또 Q1의 에미터 전류에 포함되는 역포화 전류 성분ICBO(1+β1)이 Q2의 베이스에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R의 값은 소신호용 D-P에서는 수 kΩ, 전력용에서는 수 100Ω(너무 적으면 필요한 IB2를 얻을 수 없다)이다. 또한 pnp의 D-P도 있으며 포토트랜지스터보다 훨씬 더 민감한 (β배 만큼) 포토-Darlington도 있다(그림 7-9). 이것들은 하나의 칩(chip) 위에 만들어져 있다.

상보적 Darlington-Pair(complementary D-P)

이것은 그림 7-10와 같이 pnp TR과 npn TR의 연결로 된 것으로서 전체의 β가 역시 β1β2인 하나의 npn TR로서 동작한다. B-E간의 전압이 먼저와 달리 0.7V이고, Q2의 포화전압은 먼저와 마찬가지로(0.7+0.2)V 이하로 떨어질 수 없다. Q2의 B - E간에 저항 R을 연결한 칩도 있다.

실험 과정

1. M-07의 회로-4에서 4q-4o, 4q-4j, 4e-4h를 연결하고, 4a-4b에 DC 0.5V를 인가한다.

2. 4l-4n에 DC 전압계를 연결하여 출력전압을 측정한 후 표 7-7의 Single Transistor(Re : 1kΩ)란에 기록한다.

3. 4k-4l을 연결하고 출력전압을 측정하여 표 7-7의 Single Transistor(Re : 1kΩ//330Ω)란에 기록한다.

4. 입력전압 1.0V, 1.5V, 2.0V에 대하 과정 2~3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표 7-7에 기록한다.

5. M-7의 회로-4에서 4q-4p, 4f-4g, 4e-4h를 연결하고 4a-4b에 DC 0.5V를 인가한다.

6. 측정 방법은 과정 2~4와 동일하며 측정 결과는 표 7-7의 Darlington란에 기록한다.

tab1

실험 7-3.1 Darlington Amp 측정 (M-07의 Circuit-4에서 구성한다.)

Darlington transistor 직류특성 측정

1.결선방법(M-07의 Circuit-4)
1.회로 결선

M07 보드의 Circuit-3에 4q 단자와 4p 단자 간, 4f 단자와 4g 단자 간, 4e 단자와 4h 단자 간, 4c 단자와 4q 단자 간을 황색선으로 연결한다.

2.전원 결선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3.계측기 결선은 [Single transistor 직류특성 측정]>1. 결선방법과 동일하다.

전면 패널 Signal Output 단자에 BNC 케이블을 꼽고 적색선은 Circuit-4의 AC Input의 4a 단자에, 흑색선은 4b 단자에 연결한다.

Output 전압 측정 : Circuit-4의 4m 단자와 전면패널 Multimeter High 단자 간을 적색선으로 연결하고 4n 단자와 Low 단자 간을 흑색선으로 연결한다.

2.결선도
flash

Get Adobe Flash player

3.측정 방법
  1. 1R1을 최대로 설정한 후, Touch LCD 패널에서 analog output 을 선택하고 DC Source 탭을 클릭한 후 DC Voltage range를 10v 선택한 다음 on 을 클릭하여 DC 전압을 출력한다.

    FunctionGenerator

  2. 2Touch LCD 패널에서 dmm 을 선택하고 Digital Multimeter의 Function을 dcv로 클릭한다.
  3. 3Touch LCD 패널 좌측 하단에 quick launch 를 선택하고 Analog Output를 선택한 다음 functionarrow right 를 클릭하여 DC Sousrce가 되도록 한다.

    AnalogOutput DCSource

  4. 40.00Varrow right 를 클릭하여 0.5V가 되도록 하고 Digital Multimeter의 측정값을 표 7-7의 Single Transistor (Re : 1kΩ)란에 기록한다.
  5. 5Circuit-4의 4k 단자와 4l 단자 간을 황색선으로 연결하였을 때 지시되는 측정값을 (Re : 1kΩ // 330Ω)란에 기록한다.
  6. 5입력전압 1.0V, 1.5V, 2.0V에 대해 위 과정 4)~5)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표 7-7에 기록한다.
  7. 6모든 측정이 끝나면 on red 을 클릭하여 DC Source 출력을 차단한다.

Darlington transistor 직류특성 측정

1.결선방법(M-07의 Circuit-4)
1.회로 결선

M07 보드의 Circuit-3에 4q 단자와 4p 단자 간, 4f 단자와 4g 단자 간, 4e 단자와 4h 단자 간, 4c 단자와 4q 단자 간을 황색선으로 연결한다.

2.전원 결선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3.계측기 결선은 [Single transistor 직류특성 측정]>1. 결선방법과 동일하다.
2.결선도
flash

Get Adobe Flash player

3.측정 방법
  1. 1[Single transistor 직류특성 측정]>3. 측정 방법으로 수행하여 표 7-7 해당란에 기록한다.
print

실험 결과 보고서

result
Darlington Amp
1. 실험 결과표

표 7-7

result_table
입력 | 출력Single TransistorDarlington
Re : 1㏀Re : 1㏀//330Ω Re : 1㏀Re : 1㏀//330Ω
DC 0.5V
DC 1.0V
DC 1.5V
DC 2.0V
2. 검토 및 정리
3. 실험 결과에 대해 토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