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roll top gotop scroll bottom

PART3교류(A.C.) 회로

목적

  • 1.Capacitor와 Inductor를 직렬 또는 병렬 연결시켰을 때 그 값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살펴본다.
  • 2.교류가 흐르는 전자회로에서는 흔히 Choke나 Coil이라고 부르는 Inductor와 용량 또는 콘덴서라고 하는 Capacitor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실험을 통해 Inductor와 Capacitor가 교류회로에서 어떤 특징을 갖게 되는지 학습한다.
  • 3.상호보완 관계에 있는 Inductor와 Capacitor로 구성된 회로가 주파수에 대하여 어떠한 특성을 갖게 되는가를 알아본다.
  • 4.Inductor와 Capacitor를 이용한 Filter를 구현해 보고 각 소자에서 주파수에 따른 전류의 변화를 알아본다.

실험 1 :커패시턴스 회로 (Capacitive Circuit)

이론

커패시턴스(C)만을 가지는 이상적 용량기에 i=Im sinωt로 표시되는 정현파 전류가 흐를 때 전류의 방향으로의 전압강하 υ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υ=1/∁  ∫idt= 1/∁ ∫▒〖I_m sinΩtdt=-1/(Ω∁) I_m cosΩt=1/(Ω∁) I_m sin⁡(〗 Ωt-90°)

여기서 전압, 전류의 최대치의 관계는 Vm=(1/ωC)Im이며, 실효치로는 V=(1/ωC)I 또는 I=ωCV 와 같다. 그림 3-2은 커패시턴스회로의 전압과 전류의 위상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커패시턴스만을 가지는 교류회로에서 전압과 전류는 동일 주파수의 정현파이고 전압은 전류보다 위상이 90°늦다. 그리고 전압과 전류의 실효치의 비는 Xc=1/(ωC) 와 같다. 또한 Xc 는 커패시턴스회로의 전류를 제한하는 일종의 교류저항기 역할을 하는데 이 Xc 를 용량성 리액턴스라 부르며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X_c=-1/(ΩC)=-1/(2πfC) [Ω]°)

여기서 C를 커패시턴스(단위 : Farad), f는 교류의 주파수(단위 : Hz)를 표시하며, Xc의 단위는 저항과 같이 Ω를 사용한다.

Capacitor는 직렬로 연결되면 용량은 직렬로 연결된 것 중 제일 적은 용량보다도 더 적게 되고 병렬로 연결시키면 반대로 합한 용량값으로 증가한다. 그림 3-3의 (a)와 (b)는 각각 capacitor를 직렬연결과 병렬 연결한 회로를 보여주고 있으며 각각의 경우에 대한 합성 Capacitance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Capacitor의 직렬연결 시 합성 Capacitance

1/C=1/C_1 +1/C_2 C+1/C_n

Capacitor의 병렬연결 시 합성 Capacitance

C=C_1+C_2+C+C_n

여기서 한 가지 알아야 할 것은 Capacitor에서는 반드시 사용 전압 즉, Capacitor의 내압을 표시하고 있으므로 이 표시 전압 이하에서만 사용하여야 한다. 만약 같은 용량, 같은 내압의 Capacitor를 직렬연결하는 경우에는 그 직렬수 만큼 양단의 내압도 증가하게 된다. 그림 3-3(c)는 30 mμF / 10V capacitance 3개를 직렬연결하면 합성용량이 10 mμF / 30V가 됨을 보이고 있다.

실험 과정

1. M-03의 회로-1에서 1b-1c, 1c-1d 양단을 단락시켜 그림 3-4(a)와 같이 회로를 구성한다.

2. 1a-1d 양단의 전체 커패시턴스(CT1)를 디지털 LCR 미터(용량계)로 측정하여 표 3-1의 해당란에 기록한다.

3. M-03의 회로-1에서 1c-1d 양단만을 단락시킨 후 그림 3-4(b)와 같이 회로를 구성한다.

4. 1a-1d 양단의 전체 커패시턴스(CT2)를 디지털 LCR 미터(용량계)로 측정하여 표 3-1의 해당란에 기록한다. 그리고 전체 커패시턴스(CT2)를 계산하여 기록한다.

5. M-03의 회로-1는 그림 3-4(c)와 같다. 여기서 1a-1d 양단의 전체 커패시턴스(CT3)를 디지털 LCR 미터(용량계)로 측정하여 표 3-1의 해당란에 기록한다. 그리고 전체 커패시턴스(CT3)를 계산하여 기록한다.

6. 디지털 LCR 미터(용량계)가 없는 경우 그림 3-4(d)를 참조하여 다음의 주어진 식을 이용하여 간접 측정법으로 전체 커패시턴스를 측정한다.

tab1

실험 3-1.1 M-03의 Circuit-1에서 그림 3-4와 같이 회로를 구성한다.

1.결선방법(M-03의 Circuit-1)(직렬 커패시턴스 측정)
1.회로 결선

그림 3-4 (a)와 같이 Circuit-1에서 단자 1b와 단자 1c 간, 단자 1c와 단자 1d 간을 황색선으로 연결한다.

Circuit-1에서 단자 1a와 전면 패널의 Multimeter의 High 단자 간을 적색선으로 연결하고, 단자 1d와 Low 단자 간을 흑색선으로 연결한다.

2.결선도
flash

Get Adobe Flash player

3.측정 방법
  1. 1Touch LCD 패널에서 좌측 메뉴에서dmm 을 선택한다.
  2. 2Digital Multi Meter 창의 Function에서 -||- 클릭하면, 창에 측정값이 표시된다. 표 3-1에 기록한다.
  3. 3그림 3-4 (b)와 같이 Circuit-1에서 단자 1b와 단자 1c 간의 연결선을 제거하고, 표시된 측정값을 기록한다.
  4. 4그림 3-4 (c)와 같이 Circuit-1에서 단자 1c와 단자 1d 간의 연결선을 제거하고, 표시된 측정값을 기록한다.
4.계산

1. C1+C2, C1+C2+C3의 직렬 합성 커패시턴스를 계산하여 표 3-1에 기록한다.

[직렬 합성 커패시턴스를 측정] 그림 3-4(d)의 간접 측정법 이용

1.결선방법
1.회로 결선

단자 1d와 단자 1m 간을 황색선으로 결선한다.

2.계측기 결선

함수발생기 연결

전면 패널에 Signal Output의 A+ 단자와 Circuit-1의 1a 단자를 적색선으로 연결하고, A- 단자와 Circuit-1의 1n 단자를 흑색선으로 연결한다.

전압계 연결

전면 패널에 Signal input CH A의 A+ 단자와 Circuit-1의 1a 단자를 적색선으로 연결하고, A- 단자와 Circuit-1의 1d 단자를 흑색선으로 연결한다.

전면 패널에 Signal input CH B의 B+ 단자와 Circuit-1의 1m 단자를 적색선으로 연결하고, B- 단자와 Circuit-1의 1n 단자를 흑색선으로 연결한다.

2.결선도
flash

Get Adobe Flash player

3.측정 방법
  1. 1전면 패널 좌측 메뉴에서 analog output을 선택한다.

    Function Generator창에서 Amplitude를 10v, Frequency를 1k 그리고 Signal을 로 sine선택한 후 on을 클릭하여 1KHz 10Vrms를 출력한다.

  2. 2전면 패널 좌측 메뉴에서 analog input을 선택한다.

    Volt & Ampere Meter를 선택하고, CH A와 CH B에서 각각 voltage , rms, ac 를 선택하면 측정값이 표시된다. 표 3-1에 기록한다.

    FunctionGenerator

4.계산

1. 다음의 주어진 식을 이용하여 병렬 합성 커패시턴스를 계산하여 표 3-1에 기입한다.

C=1/(Ω∙X_c ),X_c=(E_c∙R)/E_R ,(Ω=2πf )

실험 과정

1. M-03의 회로-1에서 1e-1h 양단을 단락시켜 그림 3-5(a)와 같이 회로를 구성한다.

2. 1f-1l 양단의 전체 커패시턴스(CT1)를 디지털 LCR 미터(용량계)로 측정하여 표 3-1의 해당란에 기록한다.

3. M-03의 회로-1에서 1e-1h, 1f-1s 양단을 단락시켜 그림 3-5(b)와 같이 회로를 구성한다.

4. 1f-1l 양단의 전체 커패시턴스(CT2)를 디지털 LCR 미터(용량계)로 측정하여 표 3-1의 해당란에 기록한다. 그리고 전체 커패시턴스를 계산하여 기록한다.

5. M-03의 회로-1에서 1f-1h, 1f-1i, 1g-1j 양단을 단락시켜 그림 3-5(c)와 같이 회로를 구성한다.

6. 1f-1l 양단의 전체 커패시턴스(CT3)를 디지털 LCR 미터(용량계)로 측정하여 표 3-1의 해당란에 기록한다. 그리고 전체 커패시턴스를 계산하여 기록한다.

tab2

실험 3-1.2 M-03의 Circuit-1에서 그림 3-5와 같이 회로를 구성한다.

1.결선방법(M-03의 Circuit-1)<병렬회로>
1.회로 결선

Circuit-1에서 단자 1e와 단자 1h 간을 황색선으로 연결한다. (그림 3-5 (a))

Circuit-1에서 단자 1e와 전면 패널의 Multimeter의 High 단자 간을 적색선으로 연결하고. 단자 1l과 Low 단자 간을 흑색선으로 연결한다.

2.결선도
flash

Get Adobe Flash player

3.측정 방법
  1. 1Digital Multi Meter 창에 표시된 측정값을 표 3-1에 기록한다.
  2. 2그림 3-5 (b)와 같이 Circuit-1에서 단자 1f와 단자 1i 간의 연결하고 표시된 측정값을 기록한다.
  3. 3그림 3-5 (c)와 같이 Circuit-1에서 단자 1g와 단자 1j 간의 연결하고 표시된 측정값을 기록한다.
4.계산

1. C1+C2, C1+C2+C3의 병렬 합성 커패시턴스를 계산하여 표 3-1에 기록한다.

[병렬 합성 커패시턴스 측정] 그림 3-4(d)의 간접 측정법 이용

1.결선방법
1.회로 결선

단자 1e와 1h간, 1f와 1i간, 1g와 1j간, 단자 1k(또는 1l)와 1m 간을 황색선으로 결선한다.

2.계측기 결선

함수발생기 연결

전면 패널에 Signal Output의 A+ 단자와 Circuit-1의 1f 단자를 적색선으로 연결하고, A- 단자와 Circuit-1의 1n 단자를 흑색선으로 연결한다.

전압계 연결

전면 패널에 Signal input CH A의 A+ 단자와 Circuit-1의 1h 단자를 적색선으로 연결하고, A- 단자와 Circuit-1의 1k(또는 1l) 단자를 흑색선으로 연결한다.

전면 패널에 Signal input CH B의 B+ 단자와 Circuit-1의 1m(또는 1k)단자를 적색선으로 연결하고, B- 단자와 Circuit-1의 1n 단자를 흑색선으로 연결한다.

2.결선도
flash

Get Adobe Flash player

3.측정 방법
  1. 1전면 패널 좌측 메뉴에서 analog output을 선택한다.

    Function Generator창에서 Amplitude를 10v, Frequency를 1k 그리고 Signal을 로 sine선택한 후 on을 클릭하여 1KHz 10Vrms를 출력한다.

    FunctionGenerator

  2. 2전면 패널 좌측 메뉴에서 analog input을 선택한다.

    Volt & Ampere Meter를 선택하고, CH A와 CH B에서 각각 voltage , rms, ac 를 선택하면 측정값이 표시된다. 표 3-1에 기록한다.

4.계산

1. 다음의 주어진 식을 이용하여 병렬 합성 커패시턴스를 계산하여 표 3-1에 기입한다.

print

실험 결과 보고서

result
커패시턴스 회로 (Capacitive Circuit)
1. 실험 결과표

표 3-1

result_table
회로 | 측정용 량 계
CT1CT2CT3
그림 3-4
(직렬 커패시턴스)
측정값
계산값  
그림 3-5
(병렬 커패시턴스)
측정값
계산값  
간접측정법
  EX(V)ER(V)계산값
Value CT3(㎌)
병렬 합성 커패시턴스
직렬 합성 커패시턴스
2. 검토 및 정리
1) 표 3-1에서 측정값과 계산값을 비교하시오.
2) 간접 측정법으로 병렬 및 직렬 합성 커패시턴스를 계산하여 표 3-1의 측정값과 비교하시오.
3. 실험 결과에 대해 토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