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roll top gotop scroll bottom

PART16신호변환기(Signal Converter)

실험 4 :전압-주파수 변환회로(V-F Converter)

이론

전압-주파수 변환기(Voltage-Frequency Converter, 이하 V-F 변환기라 한다.)는 적분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16-12은 V-F 변환기의 회로로써, 입력 전압 Vi를 IC1으로 반전 증폭을 함과 아울러 C1에 의해서 적분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 적분기는 반전된 전류를 입력에 되먹임 시키므로 출력 전압 VO는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V_o=-1/C1 ∫▒〖i_f dt〗=-1/C1 ∫▒V_i/R_i  dt=-1/(R_i C1) ∫▒〖v_i dt〗

(단, 여기서, if는 되먹임 전류이다.)
이 회로의 과도응답을 라플라스 변환(Laplace Transform)을 이용하면 아래와 같다.

V_o (S)=-1/sT V_i∙1/s=-1/s^2 ∙1/T V_i

(여기서, T는 R1C1이고, s는 미분 연산자(=d/dt)이다.)가 되며, 따라서 V0(t)=L-1[V0(s)]를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V_o (t)=-t/T V_i

이 식의 의미는 t=0인 시간의 출력전압은 V0=0이고, t=T 시간 후의 출력전압은 V0=Vi가 됨을 말한다. 여기서, R2는 바이어스 전류를 보정하기 위한 R2 ≅ R1저항으로 이 된다. 그러므로 R1C1의 시정수가 결정되면 출력파형은 그림 16-14의 V01과 같이 적분된 톱날파로 나타나게 된다. 또, IC2는 적분기의 출력전압과 기준전압 Vref를 비교해서 V01이 기준전압 Vref이하일 경우에는 비교기의 출력전압이 양(+)이 되어 트랜지스터 TR1을 통전(ON)시키고, 이로 인해서 C1의 전하를 TR1으로 방전시키게 된다. 반대로, VO1이 V가 되면서 IC2의 비교영역을 지나면 VO2 음(-)의 포화전압으로 출력이 나타나게 되어 TR1은 불통(OFF)가 된다.

R1C1의 시정수로써 VO1이 0V로 되는 방향에 적분을 개시하게 된다. 이 경우, IC1은 R1C1의 시정수로 정상적인 적분기로써 동작하는 경우의 IC2의 +측 전압은 TR1의 포화전압 Vr이 대단히 작다고 볼 수 있으므로, IC1의 전압과 동일한 0V의 전위가 된다.

따라서 VO1이 0V이상 되는 전위에서 IC2는 반전하고, TR1은 불통(OFF)인 동작을 되풀이한다. 이 회로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TR1이 불통(OFF)되는 경우에 콜렉터 누설전류를 항상 적분할 것, 누설전류가 작을 것, 더욱이 TR1의 통전저항 (Rr)이 R1에 비해서 작을 것 등이 요구된다. 이 회로의 출력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해서 적분되는 순간에 주기로서의 시간을 T1, 리셋(Reset)에 필요한 시간을 T2라 하면 T1, T2 그리고 발진주파수는 다음과 같다.

V_o1=-1/R1C1 ∫_0^T1▒〖V_i dt〗

∴T_1=(V_ref/V_i )R1C1

V_o1=-1/(R4+R_r )C1 ∫_0^T2▒〖V_ref dt〗=V_ref

∴T_2=(V_ref/V_ref )(R4+R_r )C1=(R4+R_r )C1

(여기서, R1은 TR1이 통전 때의 저항이다)

f_0=1/(T_1+T_2 )

그러나 실제 T2는 T1에 비해서 대단히 작은 시정수로 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므로, 회로정수는 다음 두 가지의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R4>R_r,(R4+R_r )C1≪R1C1

결국, 이 회로의 입력전압에 대한 출력 발진주파수가 시정수 R1C1에 의해서 크게 좌우된다고 볼 수 있으므로, 발진주파수의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R1 또는 C1을 정하거나 기준전압 Vref를 조정해야 한다. 그러나 기준전압(Vref)을 너무 높게 설정하면 적분 출력전압의 최고값에 교차하는 점이 없게 되어 비교적 출력이 나타나지 못하므로, 보통 적분출력의 반 정도의 전압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전압 주파수 변환 회로에 사용하는 IC는 TC9400으로 그림 16-15에서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실험 과정

1. 실험을 위해 M-16이 회로-4을 이용한다.

2. 4a-4b를 연결한 후 출력 주파수가 0Hz가 되도록 R4를 조정한다.

3. 4a-4b에 입력 신호의 전압 값을 표 16-4와 같이 1V씩 증가시켰을 때의 출력 주파수를 측정하여 표의 해당란에 기록하고, 입력 전압과 출력 주파수와의 선형성 여부를 검사한다.

tab1

실험 16-4.1 전압-주파수 변환(V/F Converter) 회로 (M16의 Circuit-4로 구성된다.)

1.결선 방법
1.결선 방법

M16의 Circuit-4에서 4d 단자와 4g 단자 간, 4f 단자와 4g 단자 간을 황색선으로 연결한다.

2.전원 결선은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3.계측기 결선

전면 패널의 Signal Output에 BNC 케이블을 연결하고 Circuit-4의 4a 단자에 적색 리드선을 연결하고, 4b 단자에 흑색 리드선을 연결한다.

전압계 결선(Zero ADJ 측정)

전면 패널의 Multimeter에서 High 단자와 Circuit-4의 4h 단자 간을 적색선으로 연결하고, Low 단자와 4j 단자 간을 흑색선을 연결한다.

전압계 결선(F-OUT)

전면 패널의 Signal Input에서 A+ 단자와 Circuit-4의 4i 단자 간을 적색선으로 연결하고, A- 단자와 4j 단자 간을 흑색선을 연결한다.

2.결선도
flash

Get Adobe Flash player

3.측정 방법
  1. 1Zero ADJ를 조정한다

    Touch LCD에서 dmm 을 선택하고 dcv 를 클릭한 다음, Circuit-4의 4a 단자와 4b 단자 간을 황색선으로 연결하고 출력전압이 0V가 되도록 R5를 조정한다.

  2. 24a-4b에 입력신호의 전압값을 표16-4와 같이 1V씩 증가시켰을 때의 출력주파수를 측정하여 표의 해당란에 기록하고 입력 전압과 출력 주파수와의 선형성 여부를 검사한다.

    전면 패널 Signal Output에 BNC 케이블을 연결하고 적색 리드선은 V-Input의 4a 단자에, 흑색 리드선은 4b 단자에 연결한다.

    Touch LCD에서 analog input 을 선택하고 Oscilloscope 탭을 선택한다.

    Touch LCD 좌측 하단에 quick launch 를 클릭하고 Analog Output를 선택한 다음 functionarrow right 를 클릭하여 DC Source 창이 나오도록 한다.

    AnalogOutput DCSource

    Range의 1v 에서 arrow left arrow right 를 클릭하여 표 16-4의 입력 전압으로 조정하면서 출력파형으로 주파수를 산출하여 표의 해당란에 기록한다.

    Oscilloscope

4.계산

1. 다음 식을 가지고 출력 주파수를 계산하여 표 16-4 해당란에 기록한다.

Circuit-4 에서 RIN=R1, CREF=C1, VREF=-5V 임.

FOUT=VIN / RIN ×1 / ((CREF )∙(VREF))

print

실험 결과 보고서

result
전압-주파수 변환회로(V-F Converter)
1. 실험 결과표

표 16-4

result_table
입력 전압 [㎐] 1V2V3V4V 5V6V7V8V
출력
주파수
[mV]
측정
계산
2. 검토 및 정리
1) 출력 주파수를 계산하여 측정값과 비교하시오.
2) 입력 전압과 출력 주파수와의 선형성을 검토하시오.
3. 실험 결과에 대해 토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