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roll top gotop scroll bottom

PART16신호변환기(Signal Converter)

실험 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

이론

가중 저항을 이용한 DAC

그림 16-8(a)는 4비트의 2진수에 비례하는 아날로그 전압을 얻는 한 가지 방법으로서 2진적으로 가중(weighted)저항 R0, 2R0, 4R0, 8R0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를 가산기로 합하고 있다. 예컨대 2진수가 1101(13(10))일 때 그림에서 스위치 S1만 OFF되어 접지되고(MOS 스위치의 경우 게이트전압을 LOW로 하여 OFF 시킨다) 나머지는 ON되어 기준전압 VR에 연결된다. 따라서 출력전압 V0 = -RFi는 다음과 같이 되므로 기준 전압은 매우 정확해야 한다.

V_o=〖-R〗_F/〖8R〗_o  (2^3×1+2^2×1+2^1×0+2^0×1) V_R=-(R_F/〖8R〗_o  V_R )×13

입력저항은 적은 것일수록 정확도가 높아야 한다. 또한, 스위치의 ON 저항은 최소저항 R0의 1/2n보다 적어야 한다.(n:비트수)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입력이 n비트일 경우 출력의 최대치는 다음과 같기 때문이다.

V_o=-R_F/(2^(n-1) R_0 ) V_R×(2^n-1)

따라서 예컨대 R0=10㏀,, 8비트일 때 V0= 0 ~ -10V까지 얻으려면 제일 큰 입력저항은
27R0=1.28㏁,RF=R0×10×27/((28-1))=50.196KΩ
으로 해야 한다. 이와 같이 비트가 높을수록 큰 저항이 필요하다는 것이 이 형식의 DAC의 결점이다. 다음에 기술할 DAC는 이 문제를 해결해 준다. 스위치로써는 그림 16-8(b)와 같은 CMOS 인버터가 적당하다. 보통 DAC 뒤에 S/H(Sample/Holder)회로를 연결한다. 입력 디지털신호는 동시에 병렬적으로 변하므로 S/H의 출력은 그림 16-8(c)와 같이 계단식으로 변한다. 이것을 매끄러운 아날로그신호로 만들기 위하여 그 뒤에 저역통과필터(LPF)를 연결한다. LPF의 차단주파수는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클럭주파수보다는 낮게 하고 신호에 포함된 최고주파수보다는 높게 해야 한다.

R-2R 사다리꼴 DAC

이것은 R과 2R의 두 가지 저항들을 사다리꼴로 연결한 것으로써 그림 16-9은 4비트의 2진 입력에 대한 것이다. 입력 2진수 1101(13(10))에 대해서는 그림에서 S1만이 그라운드되고 기타는 기준전압 VR 에 연결되어 다음과 같이 된다.

V_d=2/3∙V_R/16 (2^0+0+2^2+2^3 )=2/3∙V_R/16(13)

∴V_o=(1+R2/R1)Vd=(1+R2/R1)  2/3∙V_R/16(13)

예컨대 VR = 1V일 때 최대출력을 10V로 하려면 1+(R2/R1)/24×15=0으로부터 R2/R1=15로 하면 된다.

(1) R-2R 사다리꼴 DAC는 하중 R DAC에 비해서 저항의 개수가 2배이지만 두 가지 저항 값만이 필요하고 특성은 각 저항의 정밀도가 아니라 저항비에 관계되므로 저항비의 정밀도가 높아야 한다. 또 스위치의 ON 저항은 RON은 2진수의 MSB 쪽에서 더 큰 영향을 주므로 2R/RON의 비를 크게 해야 한다.

(2) 각 절점과 접지 사이에 분포용량이 존재한다. 따라서 위쪽에서 발생한 스탭전압일수록 출력까지 전달하는 데 지연(delay)이 생기며, 이것이 고속동작을 저해한다. 그림 16-9의 DAC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 준다.

실험 과정

1. 실험을 위해 M-16의 회로-2를 이용한다. 그리고 디지털 입력을 얻기 위해 M-16의 회로 –1을 다음과 같이 한다.

2. 1e-1f를 연결한 후 1a-1b 단자에 DC 12.75V를 인가한다.

3. 회로-1의 R4를 가변하여 Data Output 0~7에 해당하는 LED가 모두 점등되게 한다. 단, “0”에 해당하는 LED는 소등에서 점등으로 바뀌는 순간에 정확히 조정한다.

4. Connector Cable을 이용하여 회로-1과 회로-2의 소켓에 각각 연결한다.

5. M-16의 회로-2에서 2c-2d 양단 전압이 DC 12.75V가 되도록 회로-2의 R1을 가변하여 정확히 맞춘다.

5. In Circuit-2 of M-16, adjust R1 of Circuit-2 so that the voltage between 2c-2d’s both ends becomes DC 12.75V.

6. Data Input(회로-1의 ADC 출력을 이용)이 표 16-2와 같이 인가될 때의 아날로그 출력 값을 표 16-2의 해당란에 기록한다.(LED의 상태로 H, L 결정)

tab1

실험 16-2.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Digital to Analog Converter) 회로
(M16의 Circuit-2로 구성하며 Circuit-1 회로를 디지털 입력으로 사용한다.)

1.결선 방법
1.회로 결선

Vin 입력 : M16의 Circuit-1에서 1e 단자와 1f 단자 간을 황색선으로 연결한다.

디지털 입력 : M16의 Circuit-1에서 DB0(0)~DB7(7) 단자와 Circuit-2의 A8(0)~A1(7) 단자 간을 각각에 대응하여 황색선으로 연결한다.

2.전원 결선은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3.계측기 결선

Signal Output 결선

전면 패널 Signal Output의 A+ 단자와 Circuit-1의 1a 단자 간을 적색선으로 연결하고, A- 단자와 1b 단자 간을 흑색선으로 연결한다.

전압계 결선

전면 패널의 Multimeter에서 High 단자와 Circuit-2의 2c 단자 간을 적색선으로 연결하고, Low 단자와 2d 단자 간을 흑색선을 연결한다.

2.결선도
flash

Get Adobe Flash player

3.측정 방법
  1. 1[아날로그/디지털 변환(Analog to Digital Converter) 회로]>3. 측정 방법>1) 과정을 수행한다.
  2. 2M16의 Circuit-2에서 Analog Output(2c-2d) 양단 전압이 DC 10V가 한다.

    Touch LCD에서 dmm 을 선택하고 dcv 를 클릭한 다음 Circuit-2의 R2를 조정하여 DC 10V가 되도록 한다.

  3. 3[아날로그/디지털 변환(Analog to Digital Converter) 회로]>3. 측정 방법>2) 과정을 수행하여 DATA INPUT(Circuit-1의 ADC 출력을 이용)이 표 16-2와 같이 인가될 때의 아날로그 출력값을 표 16-2의 해당란에 기록한다.(LED의 상태로 H, L 결정)

    Touch LCD 좌측 하단에 quick launch 를 클릭하고 Analog Output를 선택한 다음 funnctionarrow right를 클릭하여 DC Source 창이 나오도록 한다.

    AnalogOutput DCSource

    Range의 05.0v 에서 arrow left arrow right 를 클릭하여 LED의 출력이 표 16-2의 Digital Input (Binary Input)과 같을 때 Digital Multimeter에 지시된 값을 기록한다.

  4. 4DC source 화면에서 on red 을 클릭하여 아날로그 입력에 가해지는 DC 전원을 차단한다.
print

실험 결과 보고서

result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
1. 실험 결과표

표 16-2

result_table
StepDigital Output (Binary Output) Analog
Output(DC)
D7D6D5D4 D3D2D1D0
0 LLLL HHHH
1 LLLH HHHH
2 LLHH HHHH
3 LHHH HHHH
4 LHHH HHHH
5 HLLL HHHH
6 HLLH HHHH
7 HLHL HHHH
8 HHHH HHHH
2. 검토 및 정리
1) 표 16-1의 출력 결과 가지고 표 16-2의 결과와 비교하시오.
3. 실험 결과에 대해 토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