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11발진회로(Oscillation Circuit)
실험 3 :콜피츠 발진기 (Colpitts Oscillator)
이론
그림 11-6는 콜피츠 발진기를 나타낸 것이다. 이 회로는 탱크회로 소자의 역할이 서로 바뀐 것을 제외하면 하틀레이 발진기와 유사하다. 말하자면 여기서 커패시터는 두 개로 나누어지는 반면, 인덕트는 탭이 없는 단일값을 갖는다. 발진주파수는 대략 L1과 C1및 C2의 직렬합성용량에 의한 탱크회로의 공진 주파수에 의하여 결정된다.
콜피츠와 하틀레이 발진기 사이에는 성능상의 차이가 별로 없으며, 이들 중에서의 선택은 편리성이나 경제성에 근거하여 정해진다. 또한 이들 발진기의 가변 출력주파수들은 탱크 회로소자 중의 한 가지 값을 변경시켜 얻을 수 있다.
실험 과정
1. M-11의 회로-3에서 3a-3c, 3e-3f 단자를 연결(즉 L1을 연결)하여 그림 11-7과 같이 회로를 구성한다.
2. 표 11-3과 같이 출력주파수, 출력전압, 궤환전압(C1 양단전압) 그리고 계산 주파수를 해당란에 기록한다. 궤환율은 (C2/C1)*100이다.
3. 다음에는 L1 연결을 제거하고 3b-3d 단자를 연결(즉 L2를 연결)하여 과정 2를 반복한다.
tab1실험 11-3.1 콜피츠 발진기(Colpitts Oscillator) 실험 (M11의 Circuit-3에서 그림 11-7과 같이 회로를 구성한다.)
1.결선방법(M11의 Circuit-3에서 그림 11-7 회로 실험)
1.회로 결선
인덕터 L1(220uH)을 회로에 결선하기 : Circuit-3의 3a 단자와 3c 단자 간, 3e 단자와 3f 단자 간을 황색선으로 연결한다.
2.전원 결선은 내부적으로 결선되어 있다.
3.계측기 결선
오실로스코프 및 전압계 연결
Output 전압 측정 결선 : 전면패널 Signal Input의 CH A A+ 단자와 Circuit-3의 3i 단자 간을 적색선으로, A- 단자와 3j 단자 간을 흑색선으로 연결한다.
궤환 전압 측정 결선(C1 양단 전압) : 전면패널 Signal Input의 CH B B+ 단자와 Circuit-3의 3b 단자 간을 적색선으로, B- 단자와 3g 단자 간을 흑색선으로 연결한다.
2.결선도
3.측정 방법
- 1인덕터 L1(220uH)를 결선한 회로를 구성한다.
전면 패널 analog input 을 선택하고 Oscilloscope 화면에서 나타난 출력 파형을 그리고, 출력주파수, 계산 주파수를 표 11-3 해당란에 기록한다. 이때 최적 파형이 나오도록 오실로스코프를 설정한다.
Volt & Ampere Meter 탭을 선택하고 CH A, B에서
, , 를 클릭하고 지시된 출력전압, 궤환전압(C1 양단전압)을 표 11-3의 해당란에 기록한다.(CH A : 출력전압, CH B : 궤환전압)
- 2인덕터 L2(330uH)를 결선한 회로를 구성한다.
1. 결선방법>1) 회로 결선에서 인덕터 L1(220uH)을 회로에 결선한 것을 제거하고 Circuit-3의 3b 단자와 3d 단자 간을 황색선으로 연결한다.
위 3. 측정방법>1) 과정을 수행하여 측정결과를 표11-3 해당란에 기록한다.
4.계산
1. 콜피츠 발진회로에서의 주파수 구하는 공식을 이용하여 주파수를 계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