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roll top gotop scroll bottom

PART10전원공급회로(Power Supply)

실험 3 :Variable Voltage Regulator

tab1

실험 10-3.1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가변 정전압 회로 실험
(M10의 Circuit-1, 2, 3을 이용하여 그림 10-13와 같이 트랜지스터에 의한 가변 정전압 회로를 구성한다.)

1.결선 방법(M-10의 Circuit-1, 2, 3)
1.회로결선

가변 정전압 회로 결선 ; Circuit-1의 1j 단자와 Circuit-3의 3a 단자 간을 적색선으로, 1n 단자와 Circuit-3의 3b 단자 간을 흑색선으로 연결한다.

2.전원 결선

M10 보드의 왼쪽 Variable Power V1 단자와 Circuit-1의 1a 단자 간을 적색선으로 연결하고, COM 단자와 1b 단자 간을 흑색선으로 연결한다.

3.계측기 결선

전압계 결선

Input 전압 측정 결선(입력전압) : 전면패널 Signal Input의 CH A A+ 단자와 Circuit-3의 3k 단자 간을 적색선으로, A- 단자와 3l 단자 간을 흑색선으로 연결한다.

Input 전압 측정 결선(리플 실효전압) : 전면패널 Signal Input의 CH A B+ 단자와 Circuit-3의 3k 단자 간을 적색선으로, B- 단자와 3l 단자 간을 흑색선으로 연결한다.

2.결선도
flash

Get Adobe Flash player

3.측정방법
  1. 1Touch LCD패널에서 variable_power 을 선택한 다음, 3 Phase AC Range Power 탭을 클릭한다.

    AC Voltage 표시창 오른쪽의 arrow 를 클릭하여 12.0V 가 되도록 한다.

    on 을 클릭하여 3 Phase AC Range Power의 출력을 Circuit-1 입력에 가한다.

    3PhaseACPower

  2. 2출력전압을 6V로 설정하였을 때 무부하 상태에서 출력 리플 실효전압 및 리플율을 측정한다.

    전면 패널 analog input 을 선택한 다음 Volt & Ampere Meter 탭을 선택하고 CH A에서 voltage ,dc , av 를 클릭하고, CH B에서는 voltage ,ac , rms 를 클릭한다.

    출력전압 조정용 가변저항 R4를 조정하여 CH A의 전압이 6V가 되도록 한 후 CH B에 측정된 리플 실효 출력전압을 표 10-5 해당란에 기록한다.

  3. 3출력전압을 6V로 설정하였을 때 출력 리플 최대전압, 실효전압 및 리플율을 측정한다.

    120Ω의 부하를 연결 : Circuit-2의 2j 단자와 Circuit-3의 3k 단자를 적색선으로 연결하고, Circuit-2의 2l 단자와 Circuit-3의 3l 단자를 흑색선으로 연결한다.

    출력전압 조정용 가변저항 R4를 조정하여 CH A의 전압이 6V가 되도록 한 후 CH B에 측정된 리플 실효 출력전압을 표 10-5 해당란에 기록한다.

  4. 4출력전압을 7.5V 및 9V로 변화시켰을 때 무부하 및 부하상태에서 출력 리플 실효전압 및 리플율을 측정한다.

    측정방법 과정 2) 3)을 수행하여 측정값을 표 10-5 해당란에 기록한다.

    측정이 끝나면 variable power 을 선택하고, on red 을 클릭하여 AC 12V 출력을 차단한다.

tab2

실험 10-3.2 OP-amp를 이용한 가변 정전압 회로 실험
(M10의 Circuit-1, 2, 4을 이용하여 그림 10-14와 같이 트랜지스터에 의한 가변 정전압 회로를 구성한다.)

1.결선 방법(M-10의 Circuit-1, 2, 4)
1.회로결선

가변 정전압 회로 결선 ; Circuit-1의 1j 단자와 Circuit-4의 4a 단자 간을 적색선으로, 1n 단자와 Circuit-4의 4b 단자 간을 흑색선으로 연결한다.

2.전원 결선

M10 보드의 왼쪽 Variable Power V1 단자와 Circuit-1의 1a 단자 간을 적색선으로 연결하고, COM 단자와 1b 단자 간을 흑색선으로 연결한다.

3.계측기 결선

전압계 결선

Input 전압 측정 결선(입력전압) : 전면패널 Signal Input의 CH A A+ 단자와 Circuit-4의 4i 단자 간을 적색선으로, A- 단자와 4j 단자 간을 흑색선으로 연결한다.

Input 전압 측정 결선(리플 실효전압) : 전면패널 Signal Input의 CH A B+ 단자와 Circuit-4의 4i 단자 간을 적색선으로, B- 단자와 4j 단자 간을 흑색선으로 연결한다.

2.결선도
flash

Get Adobe Flash player

3.측정방법
  1. 1[트랜지스터를 이용한 가변 정전압 회로, 그림 10-13 회로]>3. 측정방법의 1), 2), 3), 4)를 수행하여 표 10-5 해당란에 기록한다.

    단 120Ω의 부하를 연결 방법은 Circuit-2의 2j 단자와 Circuit-4의 4i 단자 간을 적색선으로 연결하고, Circuit-2의 2l 단자와 Circuit-3의 4j 단자 간을 흑색선으로 연결한다.

4.계산

1. 리플율을 다음 식에 의해 계산한다.

Ripple Rate= (Ripple Voltage (V_rms))/(DC Output Voltage (V_AV))×100[%]

print

실험 결과 보고서

result
Variable Voltage Regulator
1. 실험 결과표

표 10-5

result_table
측정 | 출력 전압그림 10-12그림 10-13
6V7.5V9V 6V7.5V9V
무부하Ripple [mVrms]
리플율 [%]
부하 120ΩRipple [mVrms]
리플율 [%]
2. 검토 및 정리
1) 출력전압이 높을수록 리플율의 변화는 어떠한지 설명하시오.
2) 리플율을 줄이는 방법에 대해 고찰하시오.
3)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가변 정전압회로와 OP amp를 이용한 가변 정전압회로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3. 실험 결과에 대해 토의한다.